보도자료
올해 민·군 기술협력사업에 1134억 투자...수륙양용 정찰로봇 등 132개 사업
- 작성일2025/05/12 13:29
- 조회 36
2025.04.30[파이낸셜뉴스]
지난 3월 12일 경기 파주시 무건리 훈련장에서 2025 FS/TIGER 일환으로 실시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활용 '한미연합 WMD(대량살상무기) 제거훈련'에서 다족형무인로봇이 적군을 정찰하고 있다./뉴시스
정부가 올해 민·군 기술협력사업에 1134억 원을 투자해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등 132개 개발과제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민·군 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올해 투자액은 지난해 보다 약 32%(277억 원) 증가했다. 올해 투자액의 약 63%인 720억 원은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봇 등 차세대 방산 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 자립화에 투입한다.
올해 민·군 기술협력사업 주요 신규 과제로는 △경호 특수차량용 방호소재 및 구조 경량화 기술 개발 △전자식 연료 분사 방식의 소형 무인기용 왕복 엔진 개발 △AI 기반 화학작용제 변색 식별 키트 개발 △AI 체계 신뢰성 시험 표준화 연구 등이 있다.
민·군 기술협력사업은 1999년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민·군 겸용기술 개발, 민간기술의 국방분야 활용, 국방기술의 민간분야 활용, 민·군 규격 표준화 및 기술정보 교류 사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민·군 소통 협력 플랫폼인 '첨단 민·군 협의체'를 가동해 군 소요와 연계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군의 소요 결정 전이라도 민간 신기술을 신속히 검증할 수 있는 군 시범 운용을 확대한다.
또 한미 간 방산 협력 강화와 수출 지원을 위해 산·학·연·군이 참여하는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민·군 협의체'를 구성하고, MRO 분야 전문 인력 양성과 시험·인증 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아울러 방위산업을 뒷받침할 핵심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방산 기반산업 분야에 연간 600억 원을 투자해 2000명 이상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국내 방산기술 및 부품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MIT, 프라운호퍼 등 세계 최고 연구기관에 설치한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민·군 겸용성이 높은 공동개발 사업을 발굴하고, 해외 국방 수요를 기반으로 한 수출형 차세대 무기체계 부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군 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위해 민·군 기술협력사업촉진법 및 관련 규정도 개정한다고 산업부와 방사청은 설명했다.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은 "첨단화되는 미래 방산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AI, 드론 등 민간의 첨단기술과 방위사업 간 융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이 중요하다"라며 "방위산업의 수출 전략산업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방위산업을 국가의 미래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민군 기술의 상호 발전을 통한 선순환 구조의 협력체계가 중요하다"라며 "방위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민군기술협력사업 관련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관리·육성하겠다"라고 밝혔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